본문 바로가기

전체 글

(52)
big O vs big Ω vs big Θ O (Big O)학계에서 big-O 는 시간의 상한을 나타낸다. 배열의 모든 값을 출력하는 알고리즘은 O(N) 으로 표현할 수도 있지만, 이 외에 N 보다 큰 big-O 시간으로 표현할 수도 있다. 예를 들어, O(N2),O(N3),O(2N)O(N^2), O(N^3), O(2^N)O(N2),O(N3),O(2N) 도 모두 옳은 표현이다. 다시 말해 실제 알고리즘의 수행시간은 적어도 이들 중 하나보다 빠르기만 하면 된다.Ω (Big Omega)학계에서 Ω 는 하한을 나타낸다. 해당 알고리즘은 Ω 수행 시간보다 빠를 수 없다.Θ (Big Theta)학계에서 Θ 는 O 와 Ω 둘다를 의미한다. 즉, 어떤 알고리즘의 수행시간이 O(N) 이면서 Ω(N) 이라면, 이 알고리즘의 수행 시간을 Θ(N) 으로 표현할 수..
[책 리뷰] 카프카, 데이터 플랫폼의 최강자 카프카, 데이터 플랫폼의 최강자 국내도서 저자 : 고승범,공용준 출판 : 책만 2018.04.26 상세보기 2년전쯤 팀내에서 스터디로 진행했던 책이다. 사실 이런 유명하고 잘 만들어진 오픈소스류들은 문서가 워낙 잘 되어 있고 레퍼런스도 많아서 웬만한 책들은 이런 레퍼런스보다 못한 경우가 많았었던 경험이 있다. 특히 한국인 저자분이 쓴 책들은 아무래도 영어로 된 정보를 전달하는 경우가 많다보니 구성이 산만하다거나, 전달하고자 하는 내용이 깔끔하지 못한 경우가 많은데, 이책은 꽤나 잘 쓰여졌다. 내용의 전개가 상당히 깔끔하고 군더더기가 없다. 중복되는 내용이 반복해서 나오지도 않으며, 카프카의 단순 사용법 뿐만 아니라 다년간 운영에서 나오는 노하우와 고려해야할 점까지 나와있는 점이 매우 좋았다. 도큐먼트보다..
[Druid][Tutorial] Writing an ingestion spec Example Data 다음과 같은 데이터가 있다고 가정해보자. srcIP: IP address of sender srcPort: Port of sender dstIP: IP address of receiver dstPort: Port of receiver protocol: IP protocol number packets: number of packets transmitted bytes: number of bytes transmitted cost: the cost of sending the traffic {"ts":"2018-01-01T01:01:35Z","srcIP":"1.1.1.1", "dstIP":"2.2.2.2", "srcPort":2000, "dstPort":3000, "protocol": 6,..